ABAP DUMP ERROR 24시

[MM] Stock Transfer에 대한 이해 본문

[SAP] 모듈

[MM] Stock Transfer에 대한 이해

이운형 2025. 3. 31. 13:17
반응형

가. 재고를 ① 하나의 저장위치에서 다른 저장위치로 옮길 수 있고,

                 ② 하나의 플랜트에서 다른 플랜트로 옮길 수 있고,

                 ③ 하나의 회사코드에서 다른 회사코드로 옮길 수도 있다. 
 이 때의 자재문서가 생성될 때, 회계문서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이며 이유는 무엇일까요?     

                           
    (   ②  두 플랜트 간의 손익센터/Business Area/재고평가방법 등이 다를 경우
        ③  회사간 거래에는 두 회사 모두 재무재표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필요함    )                
 
나. T-code : MIGO를 이용하여 재고를 한번의 transaction(1 step)으로 이전전기(Stock Transfer)하려고 할 때, 
    각 경우별로 이동유형은 어떻게 되는가?  ( ① - 311    , ② - 301     , ③ -  301로 추정되나 구현사례 확인되지 않음 )
    다만, 여기서는 가용재고(Unrestricted Stock)를 옮기는 것을 가정한다. 
 
다. 재고적송오더(Stock Transfer Order)를 생성하여 재고를 두번의 transaction(2 step)으로 옮기려고 할 때,
    각 경우별로 이동유형은 어떻게 되는가?   [Delivery를 생성하는 경우]
    ( ① 출고 - 641     입고 -  101    , ② 출고 - 641      입고 -   101   , ③ 출고 -  643    입고 -   101     )
    다만, 여기서도 가용재고(Unrestricted Stock)를 옮기는 것을 가정한다.
 
라. (플랜트간 재고적송오더 - 2 step) 하나의 플랜트에서 다른 플랜트로 재고를 보내는 구매오더를 만들 수 있다. (ME21N)
    먼저, 구매오더를 기준으로 하여 출고 납품(Outbound Delivery)를 만들어 출고를 하게 된다.

    ( 납품생성 T-code :    VL10 으로 시작, 예 VL10G    )
    이후, Delivery를 기준으로 입고처리를 하게 된다. (MIGO)
    출고 이후 입고처리 전까지 재고는 입고플랜트의 플랜트 레벨의 운송중 재고로 나타나게 된다. 

    (저장위치간 재고적송오더)
    저장위치간 적송의 경우도 재고적송을 위한 구매오더를 만들어 실행할 수 있으며, 플랜트간 재고적송과 처리방법은 동일하게 된다.


마. (Cross-Company Stock Transfer) 하나의 회사코드에서 다른 회사코드로 옮기는 회사간 재고적송을 하는 구매오더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회사간의 판가와 구매가는 일치하도록 하며, 구매오더를 기준으로 Outbound Delivery를 만들어 출고를 하게 된다. 
출고를 한 이후, 다른 회사에서 Delivery를 기준으로 입고처리를 하게 되는 과정은 플랜트간 재고적송과 동일하다.
  회사간 거래는 매입/매출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      Billing             ) 과  (   Invoice verifiction (매입송장, AP update)    )을 각각 실행하게 된다.
 
 
바. (사내간 거래) 플랜트 A101에서 특정 판매가로 플랜트 A102로 판매처리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101 플랜트의 제품을 A102 플랜트에서 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때의 관리회계 측면에서는 A101 플랜트에서의 제품 판매 손익에 반영되어야 하며, 
    A012 플랜트의 원재료 원가는 A 플랜트의 제품 판가를 반영하는 것이 알맞은 손익정보가 된다. 
    이 사내거래단가(Transfer Price)는 T-code : (     AKE7       ) 에서 등록할 수 있다.

     [플랜트 A101]    매출 : 제품 판가,    매출원가      :  제품 원가
     [플랜트 A102]    매입 : 제품 판가,    원재료 원가 :  제품 판가
 

 
사. (재고적송오더 1 step / 2 step 구분)  재고적송오더를 이용하여 재고를 출고하면,
    '플랜트 A101 / 저장위치 100' 에서 '플랜트 A102 / 저장위치 1000'으로 이전전기를 할 수 있다.
    이 때, 이전전기가 1 step으로 이루어질지, 2 step으로 이루어질지를 어디서 설정하는지 찾아보세요.


    IMG → Material Management  → Purchasing → Purchase Order  → Set Up Stock Transfer Order → 

 (       Assign Document Type, One-Step Procedure, Underdelivery Tolerance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