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P DUMP ERROR 24시

[PP] 반복제조 생산입고 Transaction의 이해 정리(Repetitive Production) 본문

[SAP] 모듈

[PP] 반복제조 생산입고 Transaction의 이해 정리(Repetitive Production)

이운형 2025. 2. 3. 17:02
반응형

. 완제품/반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투입되고 설비가 가동되고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 때, 생산되는 제품의 수량에 대하여, 불량을 포함하여 실제로 투입되는 원재료/반제품의 양을 입력해야 한다. 
     이 때 하위자재가 투입되는 것을  (       백플러시          )라고 하며, 제품 생산입고와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고 나누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activity(전기/가스/스팀, 외주/자사직원 투입시간, 장비 가동/중단시간 등)가 수반되어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activity (       백플러시       )라고 한다.
 


. 통상 생산입고 transaction은 T-code : MFBF 에서 처리하며,
     (        BOM        )에 정의된 수량 비율에 의해서 default로 하위자재 투입량이 보여지게 되며, 수정하여 투입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 Activity의 투입도 동일 transaction에 의해서 처리 가능하며,
     (        라우팅        )에 정의된 activity와 수량이 default로 보여지게 된다.
 


. 생산버젼(Production Version)은 해당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 필요한  (  BOM  ) 와  (  라우팅   )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고,
    동일한 제품도 여러 가지 생산버젼을 가질 수 있고, 실제 생산버젼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생산을 하게 된다. 
 
 
. 위의 생산입고 및 원재료/activity 투입에 대하여 "중간문서 역분개"를 선택하여 마이너스 처리하거나,
     T-code : MF41을 통하여 자재문서 자체를 취소할 수 있다.  ( 일반 자재문서 역분개 MBST가 아님을 유의해야 함 )
 


. 생산입고의 이동유형은 131이고, 하위자재 투입의 이동유형은 261이다.
    생산과 동시에 연산물(Co-product)/부산물(By-product)이 나올 수 있고, 부산물 중에서 파쇄하여 생산에 소량 투입하는 용도의 재고가 나올 수도 있다.
    반복제조에서의 연산물은 제조원가정산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부산물만 고려하도록 하며 부산물 입고의 이동유형은 531이 된다.
    이 부산물에 대한 생산수량 설정도 사전에 생산 Master인 (       BOM      )에 해야 한다.
 


사. 생산 시 제품 불량에 의해서 하위자재 및 activity의 초과투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제품 (      스크랩     ) 수량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다.
 

. 생산 입고 시 완제품 재고가 증가하고 원재료 재고가 차감된다고 할 때,
     회계문서의 차변에서 완제품 재고가 발생하고, 대변에서 원재료 재고가 감소하게 되고, 이 각각에 상응하는 자동기표되도록 설정된 계정이 기표되게 된다.

(생산 입고 예시 - 완제품 생산대체와 같은 상응하는 임시계정은 외울 필요가 없음 )

 

자. 제조원가 결산 시, 표준원가로 설정된 원재료의 차이금액 뿐 아니라, 실제 원가요소(운반비, 가공비, 인건비, 포장비 등)들이 모두 반영되어 
    제품 실제원가가 결정되게 된다.
 
마. 결산 과정을 거쳐서 확정된 제품 실제원가는 기 판매된 제품의 (         매출원가          )(Cost of Goods Sold)의 변경을 가져오게 된다. 
 


QUESTION)  반복제조에서는 5개의 생산 마스터를 언급하는데, 위에서 자재마스터, 생산버젼,  BOM와  라우팅 이외의 나머지 1개는 무엇일까요?
A : Work Center

반응형

'[SAP] 모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 국내 매입 송장 및 매출 빌링, 차후 조정 정리  (0) 2025.03.05
[SD] Sales Order Process에 대한 이해 정리  (0) 2025.03.05
[SAP] MM All In One  (0) 2023.01.06
[SAP] PP ALL in One  (0) 2023.01.06
mm  (0) 2023.01.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