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 필터vs인터셉터
- Validation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BindingResult
- jpa
- .orelseThrow
- Testcode
- 쿠키란
- 세션의 정의
- n+1
- 세션이란
- 인터셉터의 정의
- 구글 보안 api 활용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김영한
- filter vs interceptor
- optional
- application-properties
- SpringMVC
- spring MVC
- MVC
- 필터의 정의
- @Controller
- 401오류
- controller
- java.lang.AssertionError
- 쿠키의 정의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세션vs쿠키
- Today
- Total
목록[SAP] 모듈 (17)
ABAP DUMP ERROR 24시

생산에 투입되는 원재료의 평가방법을 표준원가로 설정하는 경우의 장점을 아래의 예시로부터 유추하여 설명하시오. 아래는 이동평균가로 관리되는 원재료의 입출 이력입니다. 가. 1월 2일에 개당 500원에 1200개를 구매입고하였습니다. 나. 1월 10일에 600개를 A제품 생산에 투입하였습니다. 다. 1월 12일에 개당 600원에 600개를 추가 구매입고하였습니다. 라. 1월 13일에 600개를 B제품 생산에 투입하였습니다. 마. 1월 20일에 200개를 회사의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였습니다. (타용도 출고) 1) A제품에 투입된 원재료의 개당 단가와 B제품에 투입된 원재료..

가. 재고를 ① 하나의 저장위치에서 다른 저장위치로 옮길 수 있고, ② 하나의 플랜트에서 다른 플랜트로 옮길 수 있고, ③ 하나의 회사코드에서 다른 회사코드로 옮길 수도 있다. 이 때의 자재문서가 생성될 때, 회계문서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이며 이유는 무엇일까요? ( ② 두 플랜트 간의 손익센터/Business Area/재고평가방법 등이 다를 경우 ③ 회사간 거래에는 두 회사 모두 재무재표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필요함 ) 나. T-code : MIGO를 이용하여 재고를 한번의 transaction(1 step)으로..

가. 상시 거래하는 국내 vendor로부터 구매를 하는 경우, 건별로 정산하지 않고 월에 1~2회 묶어서 매입 송장을 생성하게 된다. T-code : MIRO 에서 동일 vendor에 대한 당월 구매입고가 발생한 복수의 구매오더/품목을 입력하여 하나의 송장을 만들 수 있다. 구매오더에 입력한 단가와 구매입고 수량, 세금코드에 의해서 송장금액 및 부가세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타난다. 구매오더 반품을 포함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세금을 포함하여 ( balance )가 0이 되도록 입력해야 한다. 이 때, 국내 vendor의 (매출)전자세금계산서를 받아서 송장과 매칭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 자사 기준 매입전자세금계산서 ] 나. Vendor가 직접 발행하지 않고 ..

가. 통상 고객 주문에 따라서 Sales Order가 생성되고, 재고가 생산 또는 구매 입고되어 확보된 상태되었을 때, 고객의 ( 여신 ) 점검을 통과하고, ( 재고 가용성 점검 )(ATP check)을 통하여 재고를 확정한 후, 납품 문서(Outbound Delivery)를 만들고 창고에서 출고(Goods Issue)를 하게 된다. 나. 국내 일반 주문인 경우에는 Sales Order의 ( Condition ) tab에 나타나는 판매가격 정보에 매출부가세도 포함되어 나타난다. 다. 국내 일반 주문의 경우, 하루만에 제품이 도착하므로 출고 시 자재문서와 회계문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출고 시의 자재문서의 경우, 이동유형 601로 재고가 차감..

가. 완제품/반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투입되고 설비가 가동되고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 때, 생산되는 제품의 수량에 대하여, 불량을 포함하여 실제로 투입되는 원재료/반제품의 양을 입력해야 한다. 이 때 하위자재가 투입되는 것을 ( 백플러시 )라고 하며, 제품 생산입고와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고 나누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activity(전기/가스/스팀, 외주/자사직원 투입시간, 장비 가동/중단시간 등)가 수반되어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activity ( 백플러시 )라고 한다. 나. 통상 생산입고 transaction은 T-code : MFBF 에서 처리하며, ( ..

가. (일반 재고 구매) : 입고 후 송장처리 표준원가로 관리되는 원재료 100개를 개당 530원에 구매하였는데, 당월의 표준원가는 개당 500원이라고 합니다. 이 때, 자재문서는 이동유형 101, 공백인 특별재고지시자로 특정 플랜트/저장위치로 재고수량 100개가 증가하는 품목 라인이 발생한다. 이 때, 회계전표의 차변(Debit, S)에는 원재료 재고계정이 ( 5 )만원 만큼 증가하고, 재고차이계정 금액이 ( 0.3 )만원 만큼 발생하게 된다. 회계전표의 대변(Credit, H)에는 Vendor에게 지급해야 할 총액이 ( GR/IR ) 계정으로 발행하게 된다. *① 계정은 입고와 송장의 시점 차이를 회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