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alidation
- spring MVC
- 구글 보안 api 활용
- optional
- sap memory
- application-properties
- abap면접
- n+1
- jpa
- MVC
- .orelseThrow
- @Controller
- BindingResult
- abap
- SAP
- SpringMVC
- controller
- Testcode
- for all entries in
- value base corresponding
- memory변수명 변경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김영한
- new syntax
- memory 정리
- abap memory
- spring
- 신문법 abap
- mapping corresponding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Today
- Total
SAP공장
[SD] Sales Order Process에 대한 이해 정리 본문
가. 통상 고객 주문에 따라서 Sales Order가 생성되고, 재고가 생산 또는 구매 입고되어 확보된 상태되었을 때,
고객의 ( 여신 ) 점검을 통과하고, ( 재고 가용성 점검 )(ATP check)을 통하여 재고를 확정한 후,
납품 문서(Outbound Delivery)를 만들고 창고에서 출고(Goods Issue)를 하게 된다.
나. 국내 일반 주문인 경우에는 Sales Order의 ( Condition ) tab에 나타나는 판매가격 정보에 매출부가세도 포함되어 나타난다.
다. 국내 일반 주문의 경우, 하루만에 제품이 도착하므로 출고 시 자재문서와 회계문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출고 시의 자재문서의 경우, 이동유형 601로 재고가 차감된다.
회계문서의 차변에 ( (제품)매출원가 ) 계정이 발생하고, 대변에 ( 제품(재고) ) 계정이 발생하게 된다.
라. 배송이 완료된 이후에 고객대금청구문서(Billing Document)를 생성한다.
이 회계문서의 차변에 고객에 대한 채권으로서 ( 외상매출금 , A/R ) 계정이 발생하고, 대변에 제품국내매출과 부가가치세예수금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부가가치세예수금은 납부해야 할 세금을 의미한다.
마. 고객으로부터 대금을 수취한 이후에 채권을 반제하게 된다.
차변) 현금 / 대변) A/R 계정
바. 고객 promotion을 위하여 무상으로 제품을 제공하는 Sales Order도 있을 수 있다. (샘플, 무상, 견본 등의 용어 사용)
이 때는 고객의 ( 여신 ) 점검 없이 ( 재고가용성 점검 )만을 진행하여 재고가 확정된 후,
납품 문서를 생성 시 출고 처리를 한다.
출고 시에 매출은 발생하지 않고 설정된 비용이 반영되게 된다.
[출고 시 회계문서] 차변) ( 견본비 ) / 대변) 제품
이후에, Billing document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회계문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사. 고객 claim에 의하여 무상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Sales Order도 있을 수 있다. (위의 무상출고와 프로세스는 같다.)
[출고 시 회계문서] 차변) 잡비:Claim / 대변) 제품
아. 고객이 지정한 창고에 제품 재고를 배송하는 Sales Order가 있을 수 있다. [Consignment Fill-Up]
위탁창고에서 고객이 실제로 가져다 쓰는 만큼을 출고처리하여 매출을 발생시키는 Sales Order가 있을 수 있다
[Consignment Issue]
자. 출고된 제품에 대하여 고객이 반품을 하는 경우를 위한 반품 Sales Order도 있을 수 있다.
반품은 통상 Billing을 참조하여 생성하고, 반품 납품(Return Delivery)를 생성하여 입고 처리를 한다.
입고 후에 반품 Billing을 하여 대금청구액을 마이너스가 되도록 한다.
원본 Billing과 반품 Billing의 회계문서를 상계하여 고객에게 청구되는 금액이 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과거월에 출고된 제품이 당월에 반품되는 경우, 입고되는 제품의 원가 반영은 과거월의 실제원가가 아닌 당월의 표준원가로 이루어지게 된다.
차. 수출 주문인 경우 과세하지 않으므로, Sales Order의 ( Condition ) tab에 부가세가 나타나지 않도록 가격 제어를 한다.
Sales Order에 입력한 ( 인도조건(INCOTERMS) ) 값을 살펴보면, 회계원칙에 따라서 고객향 운송중 재고가 발생해야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상 수출의 경우 배로 선적을 하게 되며, 선적을 위한 Container Yard(CY)에 물건을 배송해야 하는데,
이를 standard가 지원되지 않아서 CBO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CY 저장위치로 이전전기하는 것과 Sales Order의 저장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한꺼번에 처리한 사례가 많다.
Question) 해외 신규 고객이 주문을 넣는 경우, 통상 어떤 방법으로 상호간 신뢰하고 물건을 배송하고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할 것인지 생각해 보세요.
선적과 관련된 수출서류들을 거래하는 (통지)은행에 제출하면 (수입)은행으로부터 대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수출금융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적지않은 개발이 발생하게 됩니다.
'[SAP] 모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 Stock Transfer에 대한 이해 (0) | 2025.03.31 |
---|---|
[MM] 국내 매입 송장 및 매출 빌링, 차후 조정 정리 (0) | 2025.03.05 |
[PP] 반복제조 생산입고 Transaction의 이해 정리(Repetitive Production) (0) | 2025.02.03 |
[SAP] MM All In One (0) | 2023.01.06 |
[SAP] PP ALL in One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