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VC
- application-properties
- 필터vs인터셉터
- 세션의 정의
- 쿠키의 정의
- 세션vs쿠키
- 401오류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세션이란
- SpringMVC
- 김영한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jpa
- 쿠키란
- @Controller
- 인터셉터의 정의
- Testcode
- java.lang.AssertionError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orelseThrow
- spring
- 구글 보안 api 활용
- spring MVC
- n+1
- filter vs interceptor
- controller
- 필터의 정의
- BindingResult
- optional
- Validation
- Today
- Total
ABAP DUMP ERROR 24시
[SAP] MM All In One 본문
Q. 구매물류 기준정보란?
- 자재마스터 : R/3 전 영역에서 필요한 자재에 대한 정보 관리
#View 종류
- 기본데이터, MRP, 일반 플렌트 데이터 저장, 회계, 구매, 영업 등등...
# 원자재 View : 영업 빼고 다
# 반제품 View : 영업, 구매 빼고 다
# 제품 View : 구매 빼고 다
# 상품 View : 자재계획 빼고다
- 업체마스터 : 공급업체에 대한 일반, 회계, 구매 관련 정보 체계적 관리
- 구매정보레코드 : 자재 및 자재그룹에 대한 업체별, 구매부서별 정보 저장
- 소스리스트 : 자재별 공급가능 업체 혹은 구매정보 리스트 관리,
이중 공급원중 특정 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급을 제한(Blocking)과 일정기간동안 독점허용(Fix).
- 쿼터할당 : 자동업체 지정을 위한 물품별 공급업체에 대한 물량 할당 비율 관리 MEQ1
Q. 구매 조직구조는?
- 플랜트(Plant) : 전체 물류부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며 Planning의 기준이 된다.
# Company Code<주인> : Plant<하인> = 1 : N
# 1000번 Company code의 100번 Plant는 2000번 company Code에서 사용 불가.
- 구매조직(Purchase Organization) : 구매활동을 위한 기본단위.
# Company Code , Purchase Organization = 중앙 집중 구매조직
따라서 Company Code : Purchase Organization = N : N
# Company code , Plant = 분산 구매조직
# Company Code에 할당이 안된다면 Plant Level에 Assign되어 분산 구매조직으로 조달업무를 수행한다.
- 구매그룹(Purchase Group) : 구매 담당자를 나타내는 조직요소
# 코드는 3자리(이녀석만 유일하게 3자리! 나머지 4자리)
# 구매조직에 종속 (구매조직 쫄병들)
# 구매실적 정보 집계 LEVEL
- 저장위치(Storage Location) : Plant에 종속되는 공장 내 재고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재고관리의 기본이 되는 조직요소
#하나의 Plant 내에서 정의되고 동일 코드의 사용이 다른 Plant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중요!
-Plant 1개에는 여러가지 저장위치가 들어간다.
-Company Code 1개에는 다수의 Plant들이 연결된다.
-원래 쓰였던 Plant는 여러가지 Company Code들에는 연결이 되지 않는다.
Q. XK01(공급업체 마스터), FK01(회계), MK01(구매)가 S/4 HANA로 가면서 어떤 Tcode로 통합 되었는가?
- BP
Q. GR 기준 IV가 무엇인가?
- 입고가 된것들에 대해서 송장을 치는것.
- 구매정보와 공급처에 존재
- 국내, 국외를 구분하는것으로 사용
- 외상매입금 처리시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Q. 구매 프로세스는 어떻게 되나요?
구매 요청 -> 구매 오더 -> 입고 -> 송장검증
Q. 입고시 생성되는 SAP 문서 2가지는?
- 자재문서
- 회계문서
# 송장을 치면 송장문서와 회계문서가 만들어 진다.
Q. 구매요청이 만들어 지는 방법 3가지는?
- MRP
- CBP(소비기준계획, Consumption Based Planning)
- me51n 수기 입력
#추가
대부분 공급업체는 자동으로 선정해 준다!
Q. 구매오더를 만들기 위해 참조하는 문서 3가지는?
- RFQ( 서비스 구매에 대해 공급업체로부터 견적을 요청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 구매요청
- 구매계약
Q. 구매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주로 소모품 구매할때 사용되는 지시자)로 다양한 원가분석이나 회계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시자(구매요청과 구매 오더 안에 있다)
-> 계정지정범주
#소모품 구매는('K') 자산 구매는('A')
# 구매 발주시 품목별로 구매 발주 단계에서 발생하는 재고금액을 어떤 계정으로 회계처리를 할지를 결정하는 기능
Q. 외주임가공이나 외주업체 위탁과 같이 구매프로세스를 변경해야 할때 사용하는 지시자
-> Item Category
Q. 실시간으로 회계전표가 발생하는데, 입고 시점과 송장시점의 시차간의 대응을 위해서 SAP에서 사용되는 회계 계정(임시 계정)
->GR/IR 임시계정
#입고는 되었는데 송장처리가 안되었다 = 미확정채무
# 송장은 되었는데 입고가 안되었다 = 미착재고
정리(송장 Tcode : MIR4) | 차변 | 대변 |
입고회계전표 | 원재료 | GR/IR 임시계정 |
송장회계전표 | GR/IR 임시계정, 부가가치세 | 외상매입금 |
Q. 입고할때 넣는 3자리 숫자 모든 물류 트렌젝션은 다음 숫자가 필수로 작용한다.
->이동 유형
# 상품 이동을 위한 3자리 식별 키
Q. 입고나 송장을 치게되면 구매오더를 치게 되면 이것이 계속 업데이트가 된다. 이것은?
-> 구매오더이력
Q. 구매요청과 구매오더를 생성할때 사용되는 T-code
구매오더 : ME21N
구매요청 : ME51N
구매오더 릴리즈 : ME29N
입고 : MIGO
송장 : MIRO
#추가
구매정보 Record ME11
위탁 및 파이프 라인 MRKO
재고 전기 ME2O / MIGO
저장 위치별 재고 확인 MMBE
시정재고(전기일의 재고) :MB5B
자재문서리스트 : MB51
현재고 조회 : MB52
Q. 기준정보에서 핵심적으로 관리하는것은 어떤것이 있는가?
자재마스터, 업체마스터, 구매정보레코드, 소스리스트, 쿼터할당
Q. SAP 문서에서 어떤게 Header 이고 Item인지?
- 구매오더 Header : 구매 조직, 구매그룹, 회사코드
- 구매오더 ITem : 품목, 계정지정범주, 품목 범주, 자재, PO 수량, 납품일, 단가, Plant, 저장 위치, 배치
Q. Drag and Drop 으로 끌어와서 PO로 전환할때, 어떤것을 참조해서 구매요청이나 구매오더를 만드는가?
<무엇을 끌어서 만드는지?>
BOM과 , 구매정보레코드 생성해야한다.
Q. 어떨 때 자재문서와 회계 문서가 발생이 되는지?
- 입고(이동유형:101),출고(이동유형 201),위탁,외주 : 자재문서, 회계문서가 동시에 발생된다
- 자재이전(저장위치 이전, 311) : 자재문서만 발생된다. (Plant간 이전, 302) : 회계문서가 발생된다.
- 이전전기 : 아무 문서도 발생되지 않는다.
-TEXT 구매와, Blank PO : 간단한 구매프로세스는 회계문서만 발생
#재고이전(자재이전) vs 이전전기
재고이전 : 재고의 물리적 이전
이전전기 : 재고의 성질 변화
Q. 외주임가공 위탁프로세스 <프로세스 순서>
#정의 : 원재료를 공급업체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가공업체로부터 제품을 입고시킨다.
# 공급업체로 제공되는 재고가 plant 밖으로 나가지 않으므로 FI 문서가 생성되지는 않는다.
(1) 임가공 구매정보레코드 생성(가공비)
(2)구매오더 생성(제품기준, 아이템카테고리는 'L', 구성품목 확인 )
(3) 공급업체 재고전기(이동 유형 : '541', 특별재고지시자 'O', 특별제재고번호 : 공급업체), Tcode me20, migo
(4) 구매오더 입고(제품 101, 원재료 543+)
(5) 임가공 송장처리(가공비)
#간단히
구매오더 생성 -> 공급업체 제고로 이전 -> 입고 -> 송장검증
#추가
VMI 재고는 특별재고지시자 'K'를 사용한다.
그밖의 공부내용
#평가 클래스(valuation class) : 자재별로 재고 계정을 별도로 유지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유사성이 있는 자재들의 집합, 자
재코드만으로 계정지정이된다. + GR과정에서 어떤 재고 계정이 업데이트 되는지 결정하는 것.
#증빙일 vs 전기일자
증빙일 : 영수증, 계산서에 기록되는 날짜
전기일자 : 장부에 기록되는 날짜
#Blanket Purchase Order
-> 구매한도액만 설정 후 절차를 생략하고, 정기적으로 송장입력만 해서 매입처리를 하는것.
#Text 구매
-> 신규품 혹은 자재 마스터가 생성 되지 않은 품목에 대해 text 형식의 구매요청을 할때 사용하는 것.
#배치, 일련번호 => 재고의 이력을 조회하기 위해 사용한다
배치 : 비슷한 성질의 조직을 묶어서 관리한다.
일련번호 : 개별로 관리한다.
#VMI 프로세스
VMI 자재입고 -> 출고 -> 정산 -> 업체송부
'[SAP] 모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 Sales Order Process에 대한 이해 정리 (0) | 2025.03.05 |
---|---|
[PP] 반복제조 생산입고 Transaction의 이해 정리(Repetitive Production) (0) | 2025.02.03 |
[SAP] PP ALL in One (0) | 2023.01.06 |
mm (0) | 2023.01.05 |
[SAP] FI All in One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