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pplication-properties
- spring MVC
- Testcode
- 쿠키의 정의
- optional
- .orelseThrow
- filter vs interceptor
- BindingResult
- SpringMVC
- spring
- 인터셉터의 정의
- 김영한
- MVC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필터의 정의
- java.lang.AssertionError
- @Controller
- n+1
- 구글 보안 api 활용
- jpa
- 세션의 정의
- 쿠키란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controller
- 세션vs쿠키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Validation
- 세션이란
- 401오류
- 필터vs인터셉터
- Today
- Total
ABAP DUMP ERROR 24시
[SAP] FI All in One 본문
재무회게 => 계정과목표 생성
고정자산 => 감가상각표
1. FI 전표입력화면의 이해
-Header
문제)
1) 지급조건은 고객/구매처 마스터에만 적용 되는게 아닌 전표 입력시에도 기입 가능하다. (True)
# 근거) 123p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지급 건 별로 지급조건에 대한 변경이 가능하다'.
2) 반제항목은 재설정시 반재전표만 역분개 된다. (False)
#근거) 74p '반제항목 재설정시 반제전표와 반제일이 역분개 된다.' , 반제의 정의 재정의.
3) Document types 는 company code level 에서 생성된다. (False)
#근거) 49p '전표유형은 전표번호 범위와 연결되어 전표 저장시, 해당 전표범위 내에서 번호가 자동부여 됩니다.
level이 아니다, Client Type 이다.
#Document Type이란?
비즈니스 트랜잭션의 특성에 따라 문서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SAP에서는 문서 유형 없이 회계 문서를 전기할 수 없습니다 .
4) 유사한 성격을 같는 고객의 그룹은 고객계정그룹이다.(True)
5) CoA 단위로 회계 결산 작업이 이루어 진다.(False)
#근거) 134p sap의 재무회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계정과목표(CoA)를 생성해야한다.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회계 계정의 목록.
#CoA단위가 아니라 총 계정원장 단위입니다.
#총계정원장은 보조원장에서 자동 발생된 전표, 물류모듈에서 발생된 전표, 인사관리에서 발생된 전표, 관리회계에서 발생된 원가회계 전표, 등을 계정과목별로 관리해서 제반 결산업무를 지원한다.
2. 역분개와 Resetting, 마이너스전기의 이해
일반전기 (고객) 1000 0 1000 1000
negative posting(고객) 1000 0 0 0
#정리
역분개(Reverse) : 같은 금액의 다른 전표를 반대편에 입력하여 입력된 전표를 삭제한것 처럼 보이게 하는 작업.
- 미결항목, 차대번호
- 모든 전표로 입력된 자료는 그 자료가 오류 유무에 상관 없이 증빙으로 남긴다.
- 절대 '삭제'의 개념이 아님
재설정(Reset) : 반제만 삭제된다.
Reset은 반제 문서를 미결 항목으로 설정하고 반제 문서에 의해 반제된 모든 문서를 설정합니다.
반제 : 계정 잔액에서 미결항목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결정하여 미결항목을 상쇄해 주는 행위
#순서 : 전표를 다시 하고 싶다 -> 반제된 것은 역분개가 되지 않는다 -> 반제를 다시 하기 위해 역분개를 한다.
3. FI 조직구조의 이해
10p. 문제) fi 모듈의 조직구조중 내부관리 목적상으로 재무재표를 출력할 수 있는 조직단위는?
답: business area(사업영역)
#근거) Company Code는 내부 보고서 목적으로 여러개의 Business Area(사업영역)으로 나뉘어 질수 있음.
#추가정리
p16.
- GL마스터 : 재무 회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마스터, 계정과목표와 속성으로 구성, 'S'
- 고객마스터 : 매출채권을 기록하기 위한 단위, 고객번호와 속성으로 구성, 'D'
- 구매처마스터 : 매입채무를 기록하기 위한 단위, 구매처번호와 속성으로 구성, 'K'
- 고정자산마스터 : 회사의 각종 고정자산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단위, 고정자산번호와 속성으로 구성 'A'
- 은행 마스터 : 거래은행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단위, 은행번호와 속성으로 구성
p 5.
G/L(총계정원장) -Cost, Profit -> CO(관리회계)
AR(매출관리) <- AR, GI - SD(영업관리)
AP(매입관리) <- AP, GR - MM(구매, 자재관리)
AA(고정자산) <- Master 연결 -> PM(설비관리)
4. 고객계정그룹 check(Tcode SPRO)
고객 계정 그룹 은 고객 마스터 레코드를 포함하는 고객 계층을 제어합니다 .
고객 및 고객 마스터 데이터의 역할을 결정합니다.
고객 계정이 생성되면 특정 계정 그룹에 할당됩니다.
고객 계정의 숫자 범위 간격 |
번호가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할당되는지 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할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번호 할당 유형을 결정합니다. |
일회성 계정인지 여부 |
계정 그룹은 고객 마스터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때 필수 또는 선택 필드를 결정합니다. |
19p. G/L계정은 Chart of Account(계정과목표), Company Code(회사코드) 영역으로 분리 가능하다.
21p. 계정 그룹 : G/L 계정마스터의 속성 별 구분, 계정번호범위와 회사코드영역의 마스터 필드를 결정.
5. CoA(계정과목표)
문제) Chart Of Accou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1,3
(1) 기업이 사용하는 회계계정 목록으로 개별 GL 마스터와 관련이 있다.
(2) CoA는 손익계산서 항목으로만 구성한다.
#근거) 24p.손익계산서, 제조경비계정, 판관비계정, 영업외손익계정 , 손익계선서와 기능영역으로 구성된다.
(3) 동일한 Chart of Account를 사용하는 여러 개의 회사코드가 존재할 수 있다.
(4) 그룹화된 재무제표를 Reporting 하기 위해서 Country CoA를 사용한다.
#근거) 24p.Group CoA(여러 개의 Operating CoA들을 합해서 그룹화된 재무제표를 Reporting 위해서 사용하는 계정과목표)
#근거)
24p.
계정과목표의 종류는 3가지 종류로 나뉘어 진다.
1) Operating CoA (일반 업무에서 사용되는 계정과 목표)
2) Group CoA(여러 개의 Operating CoA들을 합해서 그룹화된 재무제표를 Reporting 위해서 사용하는 계정과목표)
3) Country CoA(주로 국가에서 정한 계정과목표가 법적으로 존재할 떄 Operating CoA와 1:1로 연결되어 사용)
# 계정과 목표 2가지 유형
-손익계산서
-기능영역
6. Account Type(계정유형)
문제) Account Type중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2
(1) Asset - A
(2) Bank - B
(3) Customer - D
(4) Vender - K
(5) G/L Account - S
7. 전표유형 설명
문제) Document Typ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4
(1) 전표의 Number Range 구분한다.
(2) 전표 전기를 위한 Account Type을 컨트롤 한다.
(3) 해당 전표가 어떤 전표인지 구분가능한 2자리의 Key값이다.
(4) Line Item에 보여지는 필드상태를 결정한다. # 전표 유형은 header data 이다!
#근거) 49p. 전표유형
전표 번호 범위와 연결되어 전표 저장시, 해당 전표 범위 내에서 번호가 자동부여 됩니다.
AB : 일반전표
DG : 고객 대변매모
DZ : 고객 지급
DR : 고객송장
KZ : 공급업체 지급
KG : 공급업체 대변메모
KN : 공급업체 순송장
KR : 공급업체 송장
SA : 모든 GL계정
8. 전기키의 이해
문제) Posting Key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1) Line Item의 차변, 대변을 결정한다
(2) External Numbering 방식으로도 생성 가능하다.
(3) 전표의 Number Range를 구분한다 # documen type.
(4) 전표 전기를 위한 Account Type을 Control 한다.
->Posting 키는 FI 트랜잭션에서 문서 개별 항목의 입력 프로세스 를 제어하기 위해 정의된 두 자리 숫자 키
구분 | 차변 | 대변 |
G/L | 40 | 50 |
Customer | 01 | 11 |
Vendor | 21 | 31 |
Customer용 특별지시자(선수금) | 09 | 19 |
Vender용 특별 지시자(선급금) | 29 | 39 |
자산 | 70 | 75 |
9. 총계정원장/ 보조원장 이해
#총계정원장은 보조원장에서 자동 발생된 전표, 물류모듈에서 발생된 전표, 인사관리에서 발생된 전표, 관리회계에서 발생된 원가회계 전표, 등을 계정과목별로 관리해서 제반 결산업무를 지원한다.
-전표 및 계정 관리 유연성
-예산 자동체크
-자동분개기능
-결산지원
-세무지원
문제) sub ledger인 것을 고르세요. 1
(1) Account Receivable
(2) Bank Account
(3) G/L Ledger
(4) Billing Document
(5) Reconciliation Account #조정계정
#근거) 38p
보조원장 종류
- Human Resource (Payroll)
- Accounts Payable (Vender)
- Assets Management
- Accounts Receivable (Customer)
- Inventory Valuation (Material)
10. 전표해더/ 전표아이템
문제) Document Header 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2
(1) Company Code
(2) Business Place
(3) Document No
(4) Reference Document No
근거) 44p.
헤더부분 유형 별.
- 전표번호(Document No)
- 회사코드(Company Code)
- 회계연도
- 증빙일
- 전기일(Posting date)
- 참조 문서 번호(Reference Document No)
개별 항목 유형
- Item
- Posting Key
- 계정
- 계정내역
- 배부
- 금액
- 텍스트
- 사업장
11. 기본적인 fi t-code
FB03 전표조회
FB08 전기전표 역분개
FD01 고객생성
FD02 고객변경
FD03 고객조회
FK01 공급업체생성
FK02 공급업체변경
FK03 공급업체조회(회계)
FS00 G/L계정 조회 변경 생성
12. 여신관리영역 기본
문제) 여신관리 영역의 설명 중 틀린 곳을 고르시오. 2
(1) 고객에 대한 신용 한도를 관리하는 조직단위로, 주로 SD에서 사용된다.
(2) 회사코드와 여신관리영역은 1:N으로 관리할수 있다. # 이유 : 1 :1 이다.
(3) 동일한 고객을 다른 여신관리영역에서 포함할 수 있다.
(4) 여러 개의 회사 코드를 사용하고, 다양한 여신한도를 관리할 필요가 생기면 추가 생성하면 된다.
#근거) 13p.
여신관리영역
- 의미 : 고객에 대한 신용을 관리하는 조직단위
- 고객 : 여신관리영역 = 1 : N
- 여신관리영역 : 회사코드, 영업영역 = 1 :N #주의 (여신)
- 회사코드 : 여신관리영역 = 1 : 1 # 주의 (노예)
=>여신은 여러 노예를 갖지만 노예는 한개의 주인만 갖는다.
13. 재무상태표 기본(B/S) 대차대조표.
거래의 8요소
14. 펌뱅킹이란?
문제) 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은행이나 전용선이나 internet line 또는 VAN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EDI 형식으로 대금 지급이나, 대금 수금에 대한
15. 구매처/고객마스터 관리 구조
구매처 및 고객마스터 관리는 일반데이터, 회사코드 데이터, 구매조직 또는 영업영역 데이터의 3가지 영역으로 관리한다.
16. 전기마감기능
sap 는 통합 시스템이기 때문에 fi에서 전기기간을 마감하면 회계전표와 같은 물류 행위를 할수 없다.
#전기기간(Posting period) : 회계연도 내의 정해진 마감 기간
17. 조정계정의 이해
fi의 2요소로 총계정원장과 보조원장(ar, ap, aa) 총계정원장은 회계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계정 과목별 금액이라는 기준으로 관리하며 계정과목이라는 마스터가 필요하다.
보조원장은 개별 고객, 거래처, 고정자산과 관련된 거래 내역을 거래 건 별로 관리하며, 거래 내역 기록을 위하 매출거래선 매입거래선 고정자산마스터가 필요하다.
gl 계정과목을 이용한 재무거래를 gl거래라고 하는데 gl거래들은 직접 총계정원장 레벨에서 해당 재무 데이터를 입력, 처리가 가능하므로
재무회계시스템에 입력할 때에는 계정과 금액만 알면 된다.
하지만 모든 거래내역이 gl 로만 입력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만약 거래가 고객 구매처 자산관리가 발생한 경우 어떤 고객, 구매처로 고정자산으로 얼마에 거래가 발생하는지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조원장에 필요한 각 마스터 데이터 조정계정이라는 gl계정을 매핑시켜서
매출거래 매입거래 고정자산거래 등이 발생할떄 마스터데이터를 사용하며 해당 보조부가 기표됨가 동시에 총계정원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터 될수있다.
'[SAP] 모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MM All In One (0) | 2023.01.06 |
---|---|
[SAP] PP ALL in One (0) | 2023.01.06 |
mm (0) | 2023.01.05 |
[SAP] CO ALL in One (0) | 2022.12.29 |
[SAP] SD All in one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