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MVC
- controller
- 인터셉터의 정의
- application-properties
- Testcode
- optional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401오류
- 세션이란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orelseThrow
- spring
- filter vs interceptor
- Validation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세션의 정의
- 김영한
- MVC
- 구글 보안 api 활용
- n+1
- 쿠키의 정의
- @Controller
- java.lang.AssertionError
- 세션vs쿠키
- 쿠키란
- BindingResult
- 필터의 정의
- 필터vs인터셉터
- jpa
- spring MVC
- Today
- Total
ABAP DUMP ERROR 24시
HR 인사 발령 정리(20230426) 본문
#인사 발령 설정
T-code : PA40
#인사 발령 순서
1. 인사발령 인포그룹 정의
(어떤 인포타입이 어떤 순서로 생성 할것인지 정의)
#SPRO 순서 : 인사관리 -> 커스터마이징 절차 -> 발령 -> 정보그룹정의
#메뉴유형 : default = 'G' "(인포그룹)
#메뉴 : 인포그룹 코드값이며 두자리 CHAR로 정의한다.
#텍스트 : 인포그룹 설명 텍스트
#User-의존 : UGR parameter 값에 따라 설정 유무
#반응 :
' ' : USER Grouping 설정 값에 따라 인포타입 보여줌
'W' : 경고 메세지를 보여주며, USER Grouping 설정 값에 따라 인포타입 보여줌
'E' : 인포 그룹을 보여주지 않는다.
#참조 : 로그인한 사용자의 UGR parameter를 유지보수 않을 때 디폴드 사용값.
2. 정보그룹수정자
Tcode : IGMOD
회사코드, 인사영역, 인사하위영역, 사원그룹, 사원하위그룹, 발령유형, 발령사유에 따라 리턴 값 설정 가능.
3. 정보그룹정의
사용자 그룹 : 로그인한 사용자의 User Grouping에 따라 설정 가능
No : 발령 낼 때 인포타입 보여주는 순서
운영 :
-COP(COPY): 기존에 레코드가 존재할 경우 COPY 모드로 기존 레코드를 화면에 복사.
만약 레코드가 존재 하지 않을 경우에는 INS 모드로 자동으로 바꿔준다.
-DEL(DELETE): 특정 발령에서 인포타입 레코드를 삭제하려고 할 경우 사용된다.
-DIS(DISPLAY): 특정 발령에서 인포타입을 DISPLAY 용도로만 보여줄 경우 사용된다.
-EDQ: 특정 발령에서 사원에 대해서 LOCK 혹은 UNLOCK 할 경우 사용되며 기존에 사용자가 LOCK 되었을 경우에는 UNLOCK 시켜주며 UNLOCK 상태일 경우에는 LOCK 시켜준다.
-INS: 우선 동일한 인포타입 및 서브타입 레코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만약 존재하면 자동으로 MOD 방식으로 전환하며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CREATE 모드로 화면을 보여준다.
-LIS9: 특정 발령에서 인포타입 레코드에 대하여 한계 결정할 때 사용된다. 대부분 퇴사 관련 발령유형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며 어떤 경우에도 0000, 0001 인포타입에 대해서 한계 결정을 설정하면 안된다.
-MOD: 인포타입을 수정 모드로 보여준다.
-INSS: 인포타입에 레코드가 존재하더라도 신규생성 모드로 보여준다.
4. 고객고유상태 생성(사원 상태 구분)
1. 고객별 상태
2. 고용 상태
3. 특별 지급
4-1) 고객별 상태(고객의 요구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 가능한 필드)
Table : PA0000-STAT1
4-2)고용 상태( ex)퇴사,휴직, 퇴직, 재직 )
Table : PA0000-STAT2
Type : '0' : 퇴사상태
'1' : 휴직상태
'2' : 퇴직상태
'3' : 재직상태
5. 인사발령설정 + 발령 사유 설정
- 발령 유형 : 인포타입 0000 혹은 PA40에서 보여질 발령 유형 코드, 주로 2자리수
- FC :
발령 유형에 대한 그루핑을 지정
(1 : 초기고용, 7 : 초기고용 및 채용으로부터 DATA 전송, 8 : host의 전역사원지정, 9 : home의 전역사원 지정, 0 : 기타액션)
- 고객별 상태 : STAT1
- 고용 상태 : STAT2(SAP 정의 사용)
- 점검 : 특정 발령 유형에 대해 사전 체크를 하기 위한 Feature값 설정.
(MSN20 : 퇴사, MSN21(재입사), MSN32(조기퇴직/퇴직)
- P : 발령시 포지션 수동 입력 여부
- PA : 발령 시 인사영역 수동 입력 여부
- Employee Group : 사원 하위 그룹 수동 입력 여부
- Employee subgroup : 발령 시 사원 하위 그룹 수동 입력 여부
- Infogroup : 발령유형에 대응하는 인포그룹 지정
- 일자관리 : PA40에서 발령을 낼 때 입력한 날짜가 유효 날짜인지 결정하는 필드
(1 : 과거 레코드의 마지막 유효 일자, ' ' 새로 생성하는 유효일자)
- U0000 : 체크 하였을 경우 0000 발령 인포타입에 레코드를 생성
- U0302 : 체크하였을 경우 0302에 레코드를 생성
- 국가재지정 : 국가를 재지정하는 발령유형에 해당하는 지시자
# 발령 사유 설정 : 발령 사유가 없더라도 한 개의 레코드는 반드시 생성해주어야한다.
6. 발령메뉴변경
- 메뉴유형 : M
T-code :
PA40 발령 메뉴(PB50 지원자 발령메뉴)
PA42 빠른 발령
- User-의존 : 로그인한 user grouping에 따라 서로 다른 발령 메뉴를 보여주도록 설정(UGR 설정에 따라 다르다)
- 반응 : User-의존 체크하였을 경우 + UGR parameter 값을 유지보수 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반응 설정
' ': 아무런 메시지가 없으며 참조 값에 따라 발령 유형들을 차례로 보여준다.
'W':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며 참조값에 따라 발령 유형들을 차례로 보여준다.
'E': (error) 발령유형을 보여주지 않는다.
- 참조 : 로그인 한 사용자의 UGR parameter를 유지보수 하지 않았을 경우, 디폴트로 사용 할 user grouping 값이다.
'[SAP] 모듈 > SAP HR'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주요 사용 Function Module 정리 (0) | 2023.04.17 |
---|---|
SAP HR PA & PD 그리고 인포타입과 발령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