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쿠키란
- 쿠키의 정의
- 필터의 정의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BindingResult
- 인터셉터의 정의
- Testcode
- filter vs interceptor
- spring MVC
- java.lang.AssertionError
- 세션이란
- spring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controller
- optional
- .orelseThrow
- 401오류
- Validation
- jpa
- SpringMVC
- 세션vs쿠키
- 구글 보안 api 활용
- n+1
- 세션의 정의
- MVC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김영한
- application-properties
- @Controller
- 필터vs인터셉터
Archives
- Today
- Total
ABAP DUMP ERROR 24시
웹 서버 v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본문
반응형
# 인프런 김영한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정리
Q.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점이 뭐야?
웹 서버는 정적 Resource만 처리하지만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로직까지 수행한다.
Q. 웹 서버(Web Server)가 뭐야?
1. Http를 기반으로 동작
2. 정적 Resource를 제공(Html, css ,js , 이미지, 영상)
3. 대표적인 예로 APACHE(아파치)
Q.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 WAS 가 뭐야?
1. http를 기반으로 동작
2. 웹 서버 기능 +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
3.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동적 HTML, HTTP API(JSON), 서블릿, JSP, 스프링 MVC 가 존재한다.
4. 대표적인 예로 TOMCAT(톰캣)
Q. 그럼 Web Server없이 WAS만 존재해도 되겠네?
아니!
WAS + DB 만으로 운영하게 되면 WAS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서버의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있어!
심지어 WAS가 장애가 나게되면 오류 화면도 노출이 불가능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답답할수 밖에 없지!
우리가 개발자로써 만드는 로직 즉, 가장 비싼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정적 리소스 때문에
WAS가 오류나면 우리들의 로직은 종이쪼라기 어음이 될 뿐이야...
Q. 해결책은?
Web Server를 앞에두고 WAS를 뒤에 두어서 사용하자!
Web Server는 정적 Resource만을 처리하자!
WAS는 애플리케이션 로직만을 처리하면되!
이렇게 해야만
WAS에 문제가 생겼을시, 빠르게 Sorry 혹은 404 Error page를 띄어서
사용자에게 사이트가 지금 문제가 있음을 알려줄수 있어!
반응형
'[WEB]Back-end >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URL 쿼리 파라미터, POST HTML Form 형식 비교 (0) | 2022.02.07 |
---|---|
HTTP 데이터 요청 대표적 3가지(GET방식, POST방식, HTTP메세지바디 ) 정리 (0) | 2022.02.07 |
HTML, HTTP API, CSR, SSR의 정리 (0) | 2022.02.07 |
멀티 쓰레드란? (0) | 2022.02.05 |
서블릿, 서블릿 컨테이너란? (0) | 2022.02.0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