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ap memory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orelseThrow
- 신문법 abap
- jpa
- spring MVC
- value base corresponding
- @Controller
- abap면접
- for all entries in
- abap memory
- optional
- SAP
- 구글 보안 api 활용
- Testcode
- MVC
- BindingResult
- memory 정리
- spring
- SpringMVC
- memory변수명 변경
- mapping corresponding
- n+1
- 김영한
- application-properties
- abap
- Validation
- controller
- new syntax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Today
- Total
목록[WEB]Back-end/JPA (16)
SAP공장

#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기본 base 정리 Q. Entity Type 과 값Type 비교해줘 Entity type 값 타입 식별자 존재 식별자 없음 생명주기 존재 생명주기를 엔티티에 의존 공유가능 공유하면 큰일 난다.(복사해서 사용해라) Q. 컬렉션이 뭐야? A. 값 타입을 컬렉션에 담아서 쓰는 것 // 타입 하나하나를 모아주는 역할. 다 PK값을 갖는다. Q. 왜 컬렉션 식별자 하나 하나를 PK로 사용하는거야? A. 해당 테이블은 값 타입으로 정의되어있다. 하나로 묶어서 식별자로 두는 방법은 엔티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테이블에 값들만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pk로 둔다. Q. 컬렉션 어떻게 사용해? A. @Elemen..

#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정리 pirvate int age; 같은 코드는 봤는데 private Address address 처럼 Address 갖고 있는 애들은 뭘까? => Entity 이거나 임베디드 타입이야 Q : 임베디드 타입이 뭐야? A : 같은 타입, 같은 성격을 띄는 필드 속성들을 묶어서 정의 // 치킨 이라는 임베디드안에 양념치킨,후라이드치킨,간장치킨을 속성을 정의한다. Q : 임베디드 타입을 왜 사용해? A : 1. 높은 재사용성 2. 높은 응집도 3. 객체와 테이블을 아주 세밀하게 매핑하는것이 가능 Q : 어떻게 사용해? A : @Embeddable : 값 타임을 정의 한다. // 치킨이라는 class 가 @Embed..
#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정리 Q . 영속성 전이 : CASCADE가 뭐야? A : 부모 Entity를 영속상태(em.persist)로 만들때 자식 Entity도 영속 상태로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단지 엔티티의 영속화를 편하게 하기 위함이야. Q . 주의 할점은 뭐야 ? A : 연관관계를 DB와 Mapping하는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 단지 영속화 할때 편리함을 더해주는 역할만 한다.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ALL,orphanRemoval = tru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ist addressHistory = new ArrayLi..
#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정리 1.Proxy 어떻게 최적화해? Lazy loading 과 proxy의 사용으로 해결한다. 2.어떻게 하는데? ManyToOne , OnetoOne 과 같이 One으로 끝나는 어노테이션에(fetch = FetchType.LAZY)를 넣어준다. 3.Lazy loading이 뭐야? Lazy Loading을 하면 연관되어 있는 값을 필요에 의해서 쓸때 SQL 쿼리가 나가 값을 가져오게하는 설정. == 필요에 따른 sql문을 날리기 때문에 성능 Up. 유지보수령 Up 4.Eager는 왜 안써? 1. 예상못한 SQL문의 발생 2. JPQL에서 N+1 문제를 발생시킨다. 5.N+1문제가 뭐야? "select * f..
#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정리 1. Proxy가 뭐야? => Entity의 틀을 갖고 있지만 내용이 없는 중간 단계의 역할을 하는 것. = 비서역할 2. Proxy 왜 사용해? => 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3. Proxy 어떻게 최적화해? => Lazy loading 과 proxy의 사용으로 해결한다, 다음 chapter 살펴보기 1. Proxy가 뭐야? 1. 클라이언트가 Member의 Name을 찾아달라고 한다. //거래처 직원이 결제서류를 들고 찾아왔다, 사장님께 전달해달라고한다. 2. 프록시는 Member 라는 엔티티와 겉은 같지만 속이빈 Proxy 객체를 생성한다. //비서가 요청사항을 접수한다. Member_P..

인프런 김영한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글입니다. 종류 @ManytoOne @OneToMany @OneToOne @ManyToMany 핵심 : 연관관계의 주인은 왜래키를 갖고 있는 객체가 되야한다. @ManytoOne Many 쪽에 연관 관계가 왜래키를 갖고있고 연관관계의 주인이 된다. @OneToMany One쪽이 주인인데 Many쪽에 왜래키를 갖고 있다. @JoinColumn을 사용해서 꼭 명시해 줘야한다! 아니면 DB에 중간 테이블이 하나 생성된다, 엔티티의 왜래키가 다른 테이블에 있으므로 연관관계시 UPDATE SQL문이 한방 더 나간다. @OneToOne case 1 ) 주 table에 왜래키 있는 경우 => 주 table 조회시 대상 table에도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