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VC
- Testcode
- spring MVC
- filter vs interceptor
- springSecurityFilterChain 오류
- spring
- 쿠키의 정의
- n+1
- 필터의 정의
- 인터셉터의 정의
- optional
- @Controller
- BindingResult
- 401오류
- abap value in field Data Class error
- 유연한 컨트롤러1 - v5
- 세션vs쿠키
- 구글 보안 api 활용
- 필터vs인터셉터
- 쿠키란
- controller
- SpringMVC
- .orelseThrow
- 세션이란
- 김영한
- 세션의 정의
- java.lang.AssertionError
- application-properties
- jpa
- Validation
Archives
- Today
- Total
ABAP DUMP ERROR 24시
[MM]특별재고 지시자 정리 본문
반응형
Special Stock Indicator란?
=> SAP의 특별 재고 지표는 제품의 특별 재고 유형을 식별하는 특성입니다.
특정 비즈니스 프로세스나 고객에게 속하는 특정 상품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google ai 참조)
가. 원재료와 같은 재고는 구매입고(이동유형 : 101) 되어 플랜트/저장위치에 평가재고로 반영되게 됩니다. | ||||||||||||||
이 때, 입고하는 lot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batch를 사용하여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아울러, 입고하는 lot별로 단가를 달리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batch별 분할평가(split valution)을 할 수도 있습니다. | ||||||||||||||
제품과 같은 재고는 생산입고(이동유형 : 131) 되어 플랜트/저장위치에 평가재고로 반영되게 됩니다. | ||||||||||||||
통상 품질검사를 거친 이후에 가용재고(Un-restricted Stock)로 보여지게 됩니다. | ||||||||||||||
생산된 제품과 구매된 상품이 같은 자재코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batch는 사용하지 않는 분할평가를 적용할 수도 있고, | ||||||||||||||
batch 속성에 분할평가가 반영된 batch별 분할평가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
이 경우에는 특별재고지시자가 없습니다. | ||||||||||||||
나. 외주 가공업체에서 생산해서 납품한 원재료 또는 상품에 대하여 | ||||||||||||||
장기간에 걸쳐 사용/판매될 물량까지 모두 구매입고하여 사전에 대금결제해 주기에는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이런 경우에는 실물수량만 입고처리하고, 실제 사용한만큼 구매입고 및 송장 처리를 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습니다. | ||||||||||||||
이 때, 공급업체가 가져다 놓은 재고는, 금액을 평가하지 않고 수량만 관리하는 재고이며, | ||||||||||||||
VMI(Vendor Managed Inventory)라 불리는 특별재고지시자 ( K ) 를 사용합니다. | ||||||||||||||
* 통상 저장위치 레벨에서 관리 | ||||||||||||||
다. 반대로 공급업체에 납품한 수량을 모두 평가재고로 관리하되, 어떤 공급업체 재고인지 구분해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 ||||||||||||||
이 때의 공급업체 특별재고는 특별재고지사자 ( O )를 사용합니다. | ||||||||||||||
* 통상 플랜트 레벨에서 관리 | ||||||||||||||
라. 제품이나 상품 재고를 고객의 특별한 주문에 할당(이전전기)하거나, 주문에 맞추어 생산/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 ||||||||||||||
이 주문에만 출고가 가능하도록 특별한 표시를 남긴 재고는 특별재고지시자 ( E )를 사용합니다. | ||||||||||||||
* 통상 저장위치 레벨에서 관리 | ||||||||||||||
마. 제품/상품을 출고하여 고객의 창고에 가져다 놓았지만, 고객이 사용한 만큼 대금결제를 해 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 즉, 이 경우에 고객 입장에서는 VMI 재고가 됩니다. )) | ||||||||||||||
이 때의 재고는 고객위탁재고라 불리며, 특별재고지시자 ( W )를 사용합니다. | ||||||||||||||
* 통상 플랜트 레벨에서 관리 | ||||||||||||||
바. 예를 들어 제품/상품을 외국의 특정 항구까지 배송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하는 CIF(cost, insurance, freight) 조건인 경우의 수출에서 | ||||||||||||||
공장창고 출고시에 창고 출고처리는 가능하나 납품완료 처리하여 매출을 발생할 수는 없으며, | ||||||||||||||
도착지에 도착 시에 납품완료(Proof of delivery) 및 매출발생을 해야 합니다. | ||||||||||||||
이 때, 창고에서 출고한 이후에 납품완료 되지 않은 상태의 재고는 고객배송 운송중 재고로 나타나게 되며, 특별재고 지시자 ( T )로 나타나게 됩니다. | ||||||||||||||
* 통상 플랜트 레벨에서 관리 | ||||||||||||||
사. 플랜트 A에서 플랜트 B로 재고를 이동하거나, 플랜트 내의 다른 저장위치간 재고를 이동할 수 있는데, | ||||||||||||||
이 때는 특별재고 지시자는 없는 운송중 재고로 표시되게 된다. | ||||||||||||||
* 플랜트간은 플랜트 레벨에서 관리하고, 저장위치간은 저장위치 레벨에서 관리함 | ||||||||||||||
아. 볼펜/사무용품 처럼 바로 특정 cost center의 비용으로 처리하는 구매입고(비용 구매)를 하는 경우에는 재고는 조회되지 않는다. | ||||||||||||||
자. 노트북이나 모니터를 특정 자산으로 구매입고(자산구매)하는 경우에도 재고는 조회되지 않으며, | ||||||||||||||
특정 Project의 WBS로 구매(Project 구매)하는 경우에는 WBS 재고로도 관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특별재고지시자 ( Q )가 사용된다.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