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 반복제조 생산입고 Transaction의 이해 정리(Repetitive Production)
가. 완제품/반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투입되고 설비가 가동되고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 때, 생산되는 제품의 수량에 대하여, 불량을 포함하여 실제로 투입되는 원재료/반제품의 양을 입력해야 한다.
이 때 하위자재가 투입되는 것을 ( 백플러시 )라고 하며, 제품 생산입고와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고 나누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activity(전기/가스/스팀, 외주/자사직원 투입시간, 장비 가동/중단시간 등)가 수반되어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activity ( 백플러시 )라고 한다.
나. 통상 생산입고 transaction은 T-code : MFBF 에서 처리하며,
( BOM )에 정의된 수량 비율에 의해서 default로 하위자재 투입량이 보여지게 되며, 수정하여 투입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다. Activity의 투입도 동일 transaction에 의해서 처리 가능하며,
( 라우팅 )에 정의된 activity와 수량이 default로 보여지게 된다.
라. 생산버젼(Production Version)은 해당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 필요한 ( BOM ) 와 ( 라우팅 )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고,
동일한 제품도 여러 가지 생산버젼을 가질 수 있고, 실제 생산버젼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생산을 하게 된다.
마. 위의 생산입고 및 원재료/activity 투입에 대하여 "중간문서 역분개"를 선택하여 마이너스 처리하거나,
T-code : MF41을 통하여 자재문서 자체를 취소할 수 있다. ( 일반 자재문서 역분개 MBST가 아님을 유의해야 함 )
바. 생산입고의 이동유형은 131이고, 하위자재 투입의 이동유형은 261이다.
생산과 동시에 연산물(Co-product)/부산물(By-product)이 나올 수 있고, 부산물 중에서 파쇄하여 생산에 소량 투입하는 용도의 재고가 나올 수도 있다.
반복제조에서의 연산물은 제조원가정산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부산물만 고려하도록 하며 부산물 입고의 이동유형은 531이 된다.
이 부산물에 대한 생산수량 설정도 사전에 생산 Master인 ( BOM )에 해야 한다.
사. 생산 시 제품 불량에 의해서 하위자재 및 activity의 초과투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제품 ( 스크랩 ) 수량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다.
아. 생산 입고 시 완제품 재고가 증가하고 원재료 재고가 차감된다고 할 때,
회계문서의 차변에서 완제품 재고가 발생하고, 대변에서 원재료 재고가 감소하게 되고, 이 각각에 상응하는 자동기표되도록 설정된 계정이 기표되게 된다.
(생산 입고 예시 - 완제품 생산대체와 같은 상응하는 임시계정은 외울 필요가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