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Back-end/Spring MVC
스프링 서버에서 응답 데이터 만들기
ABAP,ODATA,BTP
2022. 2. 16. 18:46
반응형
# 인프런 김영한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Q . 스프링 서버에서 응답 데이터 만들기
1. 정적 Resoure 사용
HYML URL을 직접 노출시켜서 실행한다.

2. 뷰 템플릿을 사용한다. // 핵심은 Model model을 만드는것
뷰 템플릿을 거쳐서 HTML이 생성되고 뷰가 응답을 만들어서 전달한다.
@RequestMapping("/response-view-v1") // response-view-1 url 이 실행이 되면
public ModelAndView responseViewV1(){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response/hello") // response/hello 경로가 실행이 되면서
.addObject("data", "hello!"); // "data"에 "hello"라는 값을 넣어라.
return mav;
}
@RequestMapping("/response-view-v2")
public String responseViewV2(Model model){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response/hello";
}
<response/hello.html 을 싱행시켜 {data}에 "Hello" 를 넣어서 웹 서비스에 띄워주세요!>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head>
<body>
<p th:text="${data}">empty</p>
</body>
</html>
3. HTTP 메세지를 사용한다. // 핵심은 @Responsebody 사용과 HelloData로 변수를 설정한다.
@Data
public class HelloData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
@ResponseStatus(HttpStatus.OK)
@ResponseBody
@GetMapping("/response-body-json-v2")
public HelloData responseBodyJsonV2() {
HelloData helloData = new HelloData();
helloData.setUsername("userA");
helloData.setAge(20);
return helloData;
}
<결과값>
{"username":"userA","age":20}
다음과 같이 JSON 형태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반응형